지상강좌┃업業과 과보果報에 대하여 - 미투(#MeToo) 운동에 즈음하여 나와 우리를 성찰하다 (上) -
상태바
지상강좌┃업業과 과보果報에 대하여 - 미투(#MeToo) 운동에 즈음하여 나와 우리를 성찰하다 (上) -
  • 관리자
  • 승인 2018.03.25 0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면-지상강좌(업과과보).jpg

끝이 없다. 연일 새로운 사건이 폭로될 뿐 아니라, 폭로의 영역이 제곱평방의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20세기 후반 이후 반세기 가까이 대한민국에서 여성으로 살아온 필자에게 여성혐오(misogyny)의 문화는 낯설지 않다.


미투(#MeToo)의 행렬이 시간과 공간 그리고 분야를 넓히며 지속되리라는 것은 충분히 예견되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이젠두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마 예상치도 못했던 이들이 폭로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마침내 나는 나 자신에게도 검열을 시도한다. 나는 누군가에게 성적 혐오의 가해자가 되었던 적은 없던가.


여성인 내가 이럴진대 남성들의 당혹스러움은 상상을 초월하는 것일지 모른다. 아마도 그것은 있었던 사실에 대한 두려움은 물론 있었을지도 모를 사실에 대한 두려움 나아가 장차 있을지도 모를 사실에 대한 두려움까지 포함한 가누기 어려운 당혹스러움이리라. 가해자로 지목된 또는 지목될 가능성의 범주에 있는 이들로부터 흔하게 접하게 되는 반응은 세 가지이다.


하나, 그런 일(일체의 성적 가해 행위)이 없다, 또는 성추행은 있었지만 성폭행은 없었다. 둘, '모종의'일이 있었지만 쌍방합의에의한것이다. 셋, '자연스러운' 행위까지 성적 혐오의 그것으로 몰리게 될 상황이
불안하고 불쾌하다, 남성을 잠정적 가해자로 간주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첫째는 사실의 부인, 둘째는 해석의 차이. 이 둘은 실질적인 폭로의 대상이 되는 이들의 반응이다. 그리고 셋째는 실제의 당사자가 아닌 이들까지를 포함하는 반응인 바, 가능태에 대한 반발이다. 이 모두는 처지의 차이에 대한 인식의 결여와 타인의 감수성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다. 여기에 한 가지 유형이 더 나타나기도 한다. 바로 나의 잘못은 하느님께 모두 용서받았다는 셀프용서의 태도가 그것이다.


따지고 보면 이런 태도들이 어디 남성에게만 나타나는 것이랴. 행위의 범주를 성적 일탈에 국한하지 않는다면, 심지어 성적 일탈과 관련된 행위에서조차도, 여성 또한 지위와 입장에 따라 얼마든지 저와 같은 태도를 보일 수 있다. 심지어 성별을 떠나 계급, 민족, 국적, 인종 등 분류 가능한 인간사회의 모든 범주에서 갖가지 사안에 대하여 동류의 태도가 나타나기도 한다. 나는 여전히 한 인간으로서나 자신에 대한 검열을 계속한다.


저 같은 반응들이 본인의 마음에 비추어 거짓 없이 솔직한것이라는 전제 하에, 이해를 시도해 본다.


# 첫째, 사실의부인
팩트의 어긋남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기억에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있지도 않은 일이 고발된 것일 수 있다는, 2차 가해가 되는 말은 아예 꺼내지도 않겠다.) 어떻게 기억에 남지 않을 수 있을까.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몹시 중요한 일이 또 다른 누군가에겐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처지가 다를 때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나에게 중요하지 않고 그래서 기억에조차 없는 일이라고 해서, 그 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것이 결코 아니다. 사건은 그 일이 중요했던 사람의 입장에서 재고되고 발굴되며 재평가되어야 한다. 고통은 엄연한 실체다. 내가 기억조차 못하는 일로 인해 누군가 오랫동안 고통받아왔다면 응당 그에 대해 책임져야한다. 인정하고 책임지는 것이 괴로운가. 어쩔 수 없다. 업보(業報)다.


# 둘째, 해석의차이. 어렵다
의미는 모든 이에게 균일하지 않고, 그래서 진실은 하나가 아니다. 우리는 기억하지 않는가. 영화 <라쇼몽>(구로사와 아키라, 1950)의 주인공들이 판관 앞에서 엉망진창 제각각의 증언들을 내뱉었음을 말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역시 앞서와 유사한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다. 처지와 감수(感受)에서 차이의 가능성을 감안하자는 것. 나의 당연함이 상대에게는 어색함일 수 있고, 나의 희락(喜樂)이 상대에게는 혐오(嫌惡)일 수 있다. 나에게는 합의로 여겨졌던 것이 상대에게는 강요로 다가왔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언제나 소통하자. 기미를 살피고 상대를 헤아리자. 인류의 DNA는 언어와 공감의 능력을 공연히 진화시킨 것이 아니다. 언어 외적 교감에 여하히 자신이 있다 하더라도, 한 번쯤은 말과 글로 확인을 시도해보자. 행여 저항의 비명과 몸짓이 있었다면 그것이 어떤 것이든 즉각 행위를 중단하자. 상대에게 승인받지 못하는 낭만은 외부로 표출될 때 추해진다. 그것은 더 이상 사회적으로 통용될 수 없다.


# 셋째, 가능태에대한반발
많은 남성들 사이에서 공감과 지지를 받는 태도이다. 나는 이 반발이 도무지 이해되질 않는다. 내 마음의 결백함이 증명될 길을 얻지 못하여 일순 상대의 염려와 조심스러움을 목도하게 되는 상황이 그토록 억울한가. 오래 전 늦은 밤길을 걷던 중 바로 앞의 젊은 여성이 나의 인기척에 화들짝 놀라며 뒤도 돌아보지 못하고 발걸음을 재촉한 일이 있었다. 나는 같은 여성이고 내가 그에게 어떠한 위해를 가할 일도 없지만, 그의 반응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일부러 내가 이러한 사람이라고 소리 내어 말하기도 어색한 상황이었기에, 나는 그저 내 걸음을 한껏 늦출 뿐이었다. 같은 엘리베이터에 올라탄 어린 아이가 아무리 사랑스러워도 그 아이의 뺨을 내 멋대로 어루만지지 않는다. 아이에게 나는 가능한 위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는 누군가에게 강자일 수 있다. 그리고 그 강자임이 상대방에게는 잠재적인 위협일 수도 있다. 나의 무감각한 언행이 상대에게는 두려움일 수 있다. 나의 자연스러운 일상의 행위가 누군가에겐 불쾌한 공포를 유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것을 인정하는 것이 그토록 어려운가.그렇게 억울하면 차라리 힘을 모아 그 누구에게도 그 어떠한 위협도 존재하지 않는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든가. 내가 저지르지 않은 일에 대해서조차 이 사회의 일원이기에 그 책임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 그것을 불교에서는 공업(共業)이라고 한다.


(다음호에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