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종법사 법문
상태바
경산 종법사 법문
  • 한울안신문
  • 승인 2007.10.11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 은덕문화원 봉불식에서 / 교도회장단 . 단체장 초청만찬에서


은덕문화원 봉불식에서


법신불은 모양도 흔적도 소리도 보이지 않지만 모든 것을 다 지배합니다. 모르는 사람은 보여줘도 알 수 없고 들려줘도 알 수 없기 때문에 대종사님은 그것을 일원상으로 그려주셨습니다.


나는 저 그림을 볼 때마다 내 생활에 합일하고 활용해 나가는 철든 수도인이 되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대종사님과 스승님의 은혜 속에 공부를 하다 보니 부처님들께서는 이런 표준으로 사시지 않을까 해서 세 가지 공부의 표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는 시시조공(時時照空)하는 삶을 살아야겠습니다. 때때로 나의 본래 일원상 마음을 비춰보셔야 합니다. 그 자리를 알아 그 자리를 비추고, 그 자리에 안주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철든 수도인입니다. 만일 그 자리를 모르거나 안주할 줄 모르면 그 분은 방랑객이고 윤회하는 삶을 사는 분입니다.


부처님들은 항상 흔적이 없고 냄새도 없으며 소리도 없는 그 자리를 알아서 그 자리에 마음을 머물고 사십니다. 그래서 언제든지 마음의 여유가 있고 언제든지 풍성하고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있는 것입니다. 주한 바 없는 마음에 주하면 이러면 이런대로 좋고, 저러면 저런대로 좋은, 그래서 늘 행복할 수 있습니다.


둘째는 처처작주(處處作主)하는 삶을 살아야겠습니다. 어느 때, 어느 곳에 처해있든지 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 세상에 장응철은 나 밖에 없습니다. 여러분도 마찬가지입니다. 설사 내가 가치 없는 일을 하더라도 그 일을 주관해 주체적인 삶을 살면 그것이 부처님으로 가는 길입니다.


주체적으로 살지 않으면 늘 다른 사람에게 종속되고 다른 사람의 눈치를 봐야 합니다. 팔자가 기구해 남의 심부름을 하고 살아도 그 일 자체를 내 일 삼아 주체적인 삶을 꾸밀 줄 안다면 미래 개벽의 일꾼이 됩니다. 그것이 부처님의 모습이요 미래 세상의 개벽의 일꾼입니다.


셋째는 사사은생(事事恩生)하는 삶을 살아야겠습니다. 우리는 일 속에 왔다가 일 속에서 갑니다. 그러니 일을 할 때 인과의 이치를 알고 처처불상의 이치를 알며, 은혜를 생산할 줄 하는 그런 인물이 되어야 합니다. 똑같은 24시간을 살아도, 똑같이 여러 가지 경계를 당해도 마음작용을 잘해 은혜를 많이 생산하는 사람이 있고 해독을 생산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우리는 은혜를 생산하고 복을 만드는 요령을 많이 연마하여 끊임없이 복을 만들고 장만해서 운수대통하는 내생을 만들고, 운수대통하는 말년을 만들어야 합니다. 오늘 봉불이 있기까지 마음으로, 정재로 도와준 분들에 감사드리며, 여기 모든 분들이 이 세가지 요령으로 살아가시길 심축드립니다.


교도회장단 . 단체장 초청만찬에서


그동안 교단발전을 위해 불철주야 노력해 주신? 출가 재가 및 교도회장들에게 이 자리를 빌려 진심으로 감사를 올립니다. 나는 서울에 오면서 서울교구가 우리 교단의 상량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집을 다 지으면 맨 뒤에 상량을 올리는데 상량을 올리지 않으면 집이 맞물려지지가 않습니다.


서울교화가 잘 되어야 세계교화가 잘 되고, 서울교화가 잘 되어야 전국 교화가 잘 될 것입니다. 그러니 여기 오신 회장님들이 교무님들과 손에 손을 맞잡고 대들보 역할을 꼭 해 주셔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대종사님이 최초교당이 구간도실 상량에 쓴 상량 글귀를 해석해 드리려고 합니다.


대종사님께서는 구간도실 상량에 ‘사원기일월(梭圓機日月) 직춘추법려(織春秋法呂)’라 쓰시시고, 또 그 아래에 ‘송수만목여춘립(松收萬木餘春立) 계합천봉세우명(溪合千峰細雨鳴)’이라 써 주셨습니다.


‘사원기일월’이란 말은 일원상 진리가 일월로 북질을 해서 삼라만상을 운영해 나간다는 뜻입니다. 우주는 음양상승의 이치를 따라 춘하추동으로 변화를 하는데 그 주체가 되는 것이 바로 일원상 진리입니다.


‘직춘추법려’란 말은 사은사요 삼학팔조로 교법을 짰다는 말입니다. 대각을 했다고 다 종교를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대각을 했어도 과거 교법대로 세상을 운전해도 되겠다 싶으면 굳이 종교를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춘추법려라는 것은 춘추도덕 즉 분명한 도덕으로 법을 짰다는 말입니다. 과거에는 아버지만 위하면 됐지만 지금 세상은 아버지도 어머니도 함께 위해야 하는 세상이 됐습니다. 그래서 대종사님께서 동양 사람이게만 좋은 법이 아니라 서양 사람에게도 좋은 교법을 새로 짜신 것입니다.


그 다음이 ‘송수만목여춘립’입니다. 원불교라는 커다란 소나무를 잘 가꾸어 나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 봄기운을 많이 흡수해야 합니다. 불교, 기독교 등 주변 사람의 봄기운을 다 흡수해야 합니다.


어떻게 흡수해야 되느냐? 절을 많이 해야 합니다. 불공을 많이 해야 합니다. 절을 잘 하고 불공을 잘하면 그 사람의 활기를 내 것으로 끌어 들일 수 있습니다. 돌아앉은 돌부처도 절을 많이 하고 불공을 많이 하면 돌아 앉는다고 했습니다. 넉넉한 봄기운을 많이 흡수해서 원불교란 거창한 소나무를 이루어야 합니다.


그 다음은 ‘계합천봉세우명’입니다. 시냇물은 여러 가지 천봉의 가는 빗방울을 모아서 크게 소리를 내고 흘러간다는 뜻입니다. 과거는 한 두 분의 천재에 의해서 세상이 움직였지만 앞으로는 그런 세상이 아닙니다. 정산종사께서는 “나는 한사람이 100점을 맞기 보다는 모든 사람이 80점 맞는 것이 더 좋다고 하셨습니다.


우리 교단도 전 교도님들이 함께 불보살 공부를 많이 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 모두의 대각의 소리를 세상에 내야 합니다. 혼자 잘 하려고 하지 말고 함께 잘해야 합니다. 서울교구 교도님들, 회장님들이 이런 상량 역할을 꼭 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