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울안 칼럼] 종교와 믿음
상태바
[한울안 칼럼] 종교와 믿음
  • 관리자
  • 승인 2016.08.31 0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은철 교무(미주서부훈련원)

크기변환_양은철교무님.jpg

다른 사람의 종교를 물을 때, “무슨 종교 믿으세요?” 혹은 “뭐 믿으세요?”라고 흔히 묻는다. 그러면, 보통은 예수님, 혹은 부처님 등을 '믿는다'고 대답을 한다. 게다가 우리는 종교생활을 하는 사람들을 믿을 신(信)자를 써서 '신자', '신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서양을 불문하고 종교에서 믿음이 강조되는 이유는, 과학과 달리 눈에 보이지 않는 초월적인 문제를 다루기 때문일 것이다. 눈에 보이는 현상이나, 과학적 사실 등을 다룰 때에는 굳이 '믿음'이 필요치 않지만, 인과보응이나 기도의 위력, 영생의 문제 등을 다룰 때에는 일정 수준의 믿음이 반드시 필요하다.

흔히 불교를 자력과 관계있는 종교라 해서 믿음과는 동떨어진 종교로 이해하기도 하지만, 이는 '맹신(盲信)'을 강조하는 특정 종교에 대한 반작용 또는 수행중심의 선불교가 서구 사회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부처님께서는 화엄경에서, “오직 믿음에 의해서만 법의 바다에 들어갈 수 있다.”라고 하셨고, 대종사님께서도 믿음은 '법을 담는 그릇', '화두를 해결하는 원동력', '계율을 지키는 근본'이라고 말씀해 주셨다. 믿음의 바탕이 없이는 수행이 깊어질 수 없다. 명상은 믿음이라는 타력보다는 자력에 기초한 수행이라고 이야기를 하지만, 불성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이 없이 효과적인 수행은 불가능하다.

산 밑에 있는 사람은 어느 길이 지름길인지, 아니, 눈앞의 이 길이 정상까지 이어진 길인지조차 알기 어렵다. 산 정상에 오른 사람만이 어디가 길인지, 어디로 가야 쉽고 빠르게 정상에 오를 수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이다.

깨달은 사람들은 바로 산 정상에 오른 사람들이고, 우리가 그들의 말을 믿고 따르는 이유이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게 모든 것을 완벽히 이해시키면서 가르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 이렇게 행동을 해야 하는지, 왜 이것은 먹어도 되고 저것은 안 되는지 정확히 이해를 못하더라도 일단은 따르게 해야할 때가 있다. 확실히 이해를 못하더라도 부모님이나 선생님을 믿고 따라 해야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고, 어느 순간 왜 그래야 하는지 이해도 되는 것이다.

나의 짐이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것이라는 믿음이 없는 사람은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항상 기내로 가방을 들고 갈 것이고, 파트너에 대한 신뢰가 없이 비즈니스에서 성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는 동시에…' 대종사님께서는 '일원상의 수행'에서 신앙을 수행의 전제조건으로 밝혀주셨고, 정산종사님께서는 “신앙은 정법수행의 원동력이며(원리 3) 수도의 무한 동력(권도 25)”이라고 하셨다. 수행을 통해 신앙이 깊어지기도 하지만, 신앙이 없으면 결코 수행이 깊어질 수가 없다. 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 불교가 신앙을 병진해야하는 이유이다.

원불교는 신앙이 약한 종교라는 말을 곧잘 듣는다. 교리체계상으로나 실지에 있어 분명히 신앙과 수행을 '병진'해야 한다. 결코 수행중심의 종교가 아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