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한울안이 만난 사람] “기복祈福을 넘어서 진리와 만나야”(2)
상태바
[신년특집] [한울안이 만난 사람] “기복祈福을 넘어서 진리와 만나야”(2)
  • 관리자
  • 승인 2017.01.19 1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불교100주년기념대회의 여운이 가시기도 전에 닥친

성주성지의 전쟁무기 사드 배치소식과

10년 전 보다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발표된 종교인구 조사결과는

많은 재가 ·출가에게 깊은 우려를 남긴 채 한 해를 마무리하게 했다.
'결복 교운을 맞이하기 위한 과도기적 현상인가?'

또는
'교화정체의 가속화를 알리는 서막인가?'

다양한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종교가 가진 본연의 역할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 또한 커지고 있다.
본지는 새해를 맞아 강화도 '심도학사'에서 명상과 인문학을 지도하고 있는

원로학자 길희성 교수(서강대학교 명예교수, 심도학사 원장)와

떠오르는 소장파 종교학자 성해영 교수(서울대학교)를 만나

한국 종교 그리고 원불교의 미래를 묻는 시간을 가졌다.
(편집자 주)

심도학사.JPG

박대성 교무(본지 편집장, 이하 박) : 보편적 학문과 더불어 시대적 경험을 함께 접하는 것이 자신의 종교적 자양을 풍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길희성 명예교수(심도학사원장, 이하 길) : 그렇다. 이번 촛불집회만 보더라도 집단적 양심의 소리를 듣는 시민들의 모습은 종교계 일반보다 앞서고 정치권보다 한 단계 높다. 그래서 이번에 탄핵이라는 결과를 이끌어 냈다고 본다.

개인적으로 촛불집회를 통해 인간의 영원성을 엿볼 수 있었다. 뒤르켐(1858~1917, 프랑스의 사회학자)은 종교는 집단적인 흥분의 상태에서 생긴다고 설명을 한다. 시민들의 외침에서 하느님의 소리를 듣는 종교적 경험을 할 수 있다.

죽음이라는 것은 개체에만 존재하는 것인데 이를 넘어서 집단적인 힘에 함몰될 때 생사를 초월하는 경험이 가능하다. 여기에 종교적 체험과 영성이 함께하게 된다면 단순한 이성과 도덕을 넘어선 새로운 차원의 종교가 된다.
시민운동에서 얻지 못하는 생사의 문제를 촛불집회 등을 통해 느끼게 되면 생사를 초월하는 경험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 내부적인 모순과 외부적인 영향으로도 종교의 영향력이 쇠퇴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한국인의 유별난 종교성이 종교의 영향력을 계속 유지시킬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 서구사회는 이미 종교의 영향력이 급격하게 쇠퇴하고 있다. 우리도 그렇게 변화하고 있다. 한국 사람은 특별히 종교적인 것이 아니라 기복적인 것이라고 본다. 기성종교인 90%이상이 기복신앙을 하고 있다.
기복신앙을 가진 사람이 사찰과 교회에 가득차도 사회는 변하지 않는다. 이런 수준의 믿음 때문에 종교가 욕을 먹게 된다. 촛불집회에 나간 시민들의 민심을 못 쫓아간다. 그러다가 건물과 의식만 남는 형해(形
骸)화된 종교가 되고 만다. 이제 기복신앙으로 소위 장사하는 시대는 지나가야 하고 지나갔다고 본다.
원불교는 너무 점잖고 기복을 안 해서 발전을 못한다는 딜레마가 있을 수 있다. 앞으로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질과 품격이 높은 교무가 배출되어야 한다. 성직자들이 영적이고 실력이 있어, 세속적인복을 넘어서는 영원한 복이 무엇인가를 알고 그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면 기복을 넘어서는 진정한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나도 그런 일을 하고 싶은 바램으로 심도학사를 열었다.

: 최근에 원불교에 애정을 가진 분들이 조언하는 것이 바로 잘 교육받은 성직자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이다. 원불교 같은 신종교가 한국 사회에 더욱 뿌리내리기 위해 교육에 대한 투자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본다.

: 실력 있고 유능한 사람을 양성해야 교리와 사상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단순히 지식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문제의 본질을 다룰 수 있는 지성인이 필요하다. 지금 원불교에 좋은 사람은 많이 있지만 그런 인물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또 한 가지 덧붙이고 싶은 말은 원불교가 기독교와 같은 유일신(唯一神) 종교의 힘과 매력 그리고 문제점을 제대로 이해하고 종교다원주의를 이야기 하는지 궁금하다. 너무 안이하고 쉽게 접근하는 것은 아닌
가 생각된다.

특정종교에 몸담지 않는 철학자가 주장하는 종교다원주의는 철학적 사유 안에서 특별한 이야기가 아니다. 그러나 어떤 특정 종교에 몸담고 헌신한 사람이 주장하는 종교다원주의는 그 깊이와 차원이 다르다.
3대 유일신 종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인간의 지성으로 절대적 진리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초자연적인 하느님으로부터 주어진 계시라는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절대시하므로(모세, 예수, 무함마드에게 주어진 계시) 보편적이고 이성적인 진리를 추구하는 사람들 또는 동양 종교인이 봤을 때는 맹목적이고 극단적인 모습으로 이해가 안 될수 있다.
하느님이 어느 특정 사건에 자신을 집중적이고 구체적으로 드러냈다는 교리를 원불교나 동양종교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3대 유일신 종교의 특수성과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 종교의 매력을 모른다. 그래서 유일신 종교가 어째서 강력하고 말도 안 되는 일을 하는지를 모른다. 그 장점과 난점(難點)을 정면을 승부해 봐야 한다.

: 원불교에서는 삼동윤리 등을 통해서 종교간 이해와 대화 또는 종교연합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유일신 종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기저에는 외면하는 태도도 동시에 갖고 있다.

: 인류의 절반에 육박하는 사람이 유일신 종교의 그늘 안에서 살고 있다. 기독교인 가운데 불교를 깊이 배운 사람이 없지만 불자들 가운데 기독교를 깊게 아는 사람도 없다.
일본에서 불교와 기독교의 대화가 활발한 것도 기독교인들 가운데 불교를 깊게 아는 사람이 있어서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그 정도가 아니라면 시민적 덕목으로 상대 종교를 관용하는 수준이다. 민주사회에서 그 정도는 너무 당연한 것이다.
허위의식을 버리고 앞으로는 종교 간에 배울 것은 배워야한다. '우리 종교의 교리 안에 모든 것이 다 들어있다'는 식의 태도는 종교를 진지하게 대하고 배우려는 마음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종교 간의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서 많은 분들이 심도학사에 와서 공부하기를 바란다.

심도학사
주소:인천시 강화군 내가면 오상리 332-14
전화 : 032-932-2957
이메일:simdohaksa@hanmail.net
카페 :cafe.daum.net/simdohaksa

(끝)
* 길희성 명예교수는 서울대 철학과 졸업,

미국 예일대학 신학석사, 하바드대학 철학박사 이후

미국 세인트 올라프 대학 종교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과 교수,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서강대 명예교수와 강화도에 위치한

'심도학사' 원장으로 사람들과 함께하고 있다.

- 저서「인도철학사」, 「지눌의 선사상」,
「일본의 정토사상」, 「마이스터엑카르트의 영성사상」,

「보살예수」, 「길은 달라도 같은 산을 오른다」,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신앙과 이성 사이에서」

- 역서「성스러움의 의미」(루돌프 옷토),
「종교의 의미와 목적」(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

「범한대역 바가바드기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