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태산 대종사의 서울교화와 그 제자들-서문성
상태바
소태산 대종사의 서울교화와 그 제자들-서문성
  • 한울안신문
  • 승인 2007.01.11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이계곡 장차 수도도량 될 것


경성지부 식당채 신축 소태산 대종사는 예회를 마친 다음날 경성지부로 돌아와 6월 6일 예회에서 설법했다. 이날 예회는 64명이 참석하여 경성지부가 생긴 이래 가장 많은 회원들이 참석했다. 경성지부 예회는 이후로 40~60명 정도가 출석하였다. 경성지부는 회원 수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회관 법당은 많은 수를 수용할 수 있어 충분하나 식당채는 오래된 집으로 퇴락하여 신축이 다년간의 현안이었다. 공사비 문제로 신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본 황정신행이 신축 대금을 전담 희사키로 했다. 원기 24년 봄에 기공하여 유종식씨의 헌신적 공사로 12간의 새로운 집이 완공되고 부속공사로 남자숙소로 사용하고 있던 퇴락한 초가 1동도 기와를 올리는 등 8월에 총 공사비 3,600여원이 들어가는 공사가 마무리됐다. 황정신행은 3,600여 원을 희사하고도 자신의 이름 밝히기를 꺼렸다. 그는 불법연구회에 입회하기 전 20여 년간 예수교를 신앙해 온 관계로 성경 말씀을 실천하고 싶어했다. 그리하여 원기24년도 사업보고서에도 경성회원 제씨(諸氏)로 <회보>제54, 59호에 회원 혹은 특지가 제씨로만 보고되었다. 황정신행은 교단사업을 하면서 한 가지 이해 할 수 없는 일이 있었다. 예수교회에서는 “오른손이 한 것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는 성경말씀이 있는데 교단에서는 일일이 사업성적이라 하여 기록을 것이다. 어느 날 소태산 대종사께 여쭈었다. “왜 여기서는 사업한 것을 기록합니까? 부끄러운데요.” “사업하는 사람은 무상보시로 해야 하지만, 그렇게 할 줄 모르는 사람은 깨우치고 또 격려하기 위해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황정신행은 그때서야 그 깊은 뜻을 알 수 있었다. 소태산 대종사 일본 방문 준비 원기25년(1940)은 일본 개국 2600년을 기념하는 해였다. 일제는 조선의 모든 불교를 모두 친일적인 단체로 만들기에 혈안이 되었다. 일제는 소태산 대종사에게 일본에 충성을 표시하여야 한다며 일본에가 일본 왕을 만나기를 강요하였다. 원기25년 10월 소태산 대종사는 박창기를 데리고 일본을 가기 위해 부산으로 갔다. 재가 교도인 박장식은 부산으로 먼저가 소태산 대종사의 도일 준비를 하였다. 소태산 대종사 부산에서 도일 준비를 할 때 하루는 남부민 지부에 걸려있는 범종을 보고 범종을 누가 사놓았느냐고 교무에게 물었다. 조일관 교무가 모 교도가 사놓은 것이라 하니 “그 종은 대단히 무서운 종이다. 앞으로 그분의 제도에 특별히 유의하라”고 하였다. 수행했던 박장식은 무서운 종이 따로 있는가 하고 의심했다. 범종을 희사한 사람이 알고 보니 이상한 하숙집(여인숙)을 하는 것을 알게 되어 소태산 대종사의 말씀의 뜻을 알게 되었다. 소태산 대종사는 부산에 있으면서 찾아오는 회원들에게 법문을 하시는가하면 남부민지부 박허주 지부장과 함께 일본 사찰인 동본원사, 서본원사, 묘심사, 화광원(정토종), 출운대신사(出雲大神社)와 용두산 공원 일대를 두루 시찰하며 절의 규모와 사업에 대한 이모저모를 이야기하고, 밤으로는 모여든 회원들에게 《목우십도송》과 《사십이장경》을 강의하였다. 그 후 소태산 대종사는 《정전》을 편찬하며 《목우십도송》과 《사십이장경》을 넣도록 하여 오늘날 《불조요경》에 포함되었다. 우이동 봉도수련원 소태산 대종사는 부산에서 열차로 대전역에 내려 다시 서대전역으로 와 열차로 익산 총부로 돌아왔다. 익산 총부로 돌아온 후 바로 박장식을 데리고 상경하였다. 소태산 대종사는 경성지부에서 순천상회 포목점을 운영하면서 창신동에 경성출장소가 있었던 인근인 동대문 옆에 동대문 부인병원을 인수하여 운영하면서 그곳에 살고 있는 황정신행에게 연락하여 경성지부로 오게 하였다. 이때 소태산 대종사는 돈암리 회관 이외에 또 다른 회관장소를 물색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경성교무인 이완철과 신병치료를 하고 있는 이동진화 교무 그리고 황정신행과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우이리로 가 몇 군데 회관장소를 물색하는 중 우이계곡 옆에서 잠시 쉬며 “이곳은 장차 수도 도량이 될 만한 곳이다 이곳에 회관을 했으면 좋겠다”라고 하였다. 소태산 대종사의 말씀에 황정신행이 알아보니 일본인 소유 땅이었다. 그곳은 오늘날 우이동 봉도수련원이 되었다. 소태산 대종사는 이에 앞서 원기23년에 황정신행 경성지부 이완철 교무 등과 우이계곡을 지나 우이령을 넘어 송추에 가면서 황정신행에게 몇 가지 법문을 하며 황정신행 별장(현 한국 보육원 터)을 다녀온 적이 있어 우이계곡은 두 번째 다녀온 것이 되었다. 소태산 대종사가 경성지부에 계시자 경성교무 이완철은 조선말 판소리 5대 명창 중 한 사람인 이동백(李東伯 1866~ 1947)을 초청하여 창을 듣게 했다. 춘향가를 듣던 소태산 대종사는 “춘향이가 살아온 것 같다” 라고 칭찬하였다.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