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3집
상태바
대산3집
  • .
  • 승인 2005.01.07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적광전
대적광전(大寂光殿)
이어서 말씀하시기를 『절에 가보면 대적광전(大寂光殿)이라고 크게 써붙였는데 크게 고요하고 빛나는 집이란 뜻이다 . 바로 부처님을 뜻하는 것이다. 부처님은 사바세계에 살으시되 물들지 않고 살으시므로 한 생각을 내시어 사바세계를 위해 설법하실 때는 설법하시고 거둘 때는 거두시어 칠일입정 칠일설법(七日入定 七日說法)을 하신다. 이와 같이 한 생각 거두어들이면 무무역무무(無無亦無無)요 비비역비비(非非亦非非)한 대적광전에 드시어 크게 비고 고요하고 두렷한 광명을 나투신다. 그 자리가 대열반(大涅槃) 처인 것이다. 우리도 이 자리를 맛봐야 한다. 한 생각 거두면 팔억만년도 있을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견성을 목적하기 때문에 최고의 어른을 불(佛) 즉 각인(覺人)이라 하고 유교에서는 그런 분을 성인(聖人)이라 하여 어진 사람(仁者)을 말하는데 도교에서는 최고의 경지를 단(丹)이라 한다. 이는 영단(靈丹)이 뭉쳤다는 뜻이다. 요가도 선의 일종인데 이것은 외단(外丹)을 뭉치는 것이다. 운동을 할 때 주먹에다 단을 뭉치면 주먹이 단이 되고 머리에 단을 뭉치면 머리가 단이 되는데 외단은 오래 가지 못하고 내단이라야 오래 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단전에 단을 해야 중도가 된다. 단이 되었는가 안 되었는가를 보려면 호흡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선을 할 때에 앉아서 잘 되는 분은 앉아서 하고 서서 잘 되는 사람은 서서하라. 앉아서는 잘 안되는 사람이 서서하면 잘 되는 사람이 있다. 나도 대종사님 모시고 열여섯 살 때부터 선을 하여 삼십세까지 정진하였는데 밤에 자기 전까지는 죽지 않으면 꼭 해야하겠다 하여 목을 어디에 달고라도 앉아서 하였더니 그것이 잘못되어 병을 얻게 되었다. 마치 마차가 가지 않으니 말을 때리지 않고 수레를 때린 것과 같았다. 그래서 행선(行禪)을 했고 채약선(採藥禪)을 하여 병이 나았다.
그러나 체질이 태음인이나 건장한 사람은 행선보다 좌선이 더 나을 수 있다. 임제선사나 동산 같은 사람은 열흘 안 먹어도 좋고 열흘 앉아있어도 좋다 하여 죽기 아니면 살기로 꽉 들어앉아 힘을 얻기도 하였으나 지금 사람들은 대개 소음과 소양인이 많으므로 행선과 사상선(事上禪)을 많이 시키는 것이 좋겠다. 그러니 자기 체질에 맞게 앉아서 하든지(坐禪) 서서하든지(入禪) 누워서 하든지(臥禪) 다니면서 하든지(行禪)하여 계속적으로 동(動)과 정(靜)이 골라 맞도록 하여야 한다.』 (61. 8. 12)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