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선진, 주산종사 (30)
상태바
그리운 선진, 주산종사 (30)
  • 한울안신문
  • 승인 2023.11.01 15:12
  • 호수 13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 청년기(출가전반기)

2) 일원상 족자 - 원기 14년(1929. 24세시 봄) 
“사은의 본체를 일원상으로 본 것은 일원상이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할만한 근거로 당시 생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공회당 벽에 송도성이 그린 일원상아래 「사은지본원 여래지불성」 이라 종으로 쓴 족자를 걸었다는 것이다. 
… 송도성이 그린 족자 「◯ 사은지본원 여래지불성」은 공식석상에 나타난 최초의 일원상 도형이 된다. … 1935년 대각전을 지을 때까지 불법연구회 총부의 공식집회실인 공회당에 「◯」의 족자를 걸었다는 사실은 교리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작품은 주산의 20대의 최초 작인데 유묵이 남아있지 않아 아쉽다. 
모사재인 성사재천(謀事在人成事在天)
3) 최초 교리도 - 원기 17년(1932, 26세) 추정 
앞서 살펴본 구타원 이공주의 「내가 본 주산선생님」추모글에서 “대종사님께서 친제하옵신 불법연구회의 구교리도 등을 소중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의 내용으로 보아 이 불법연구회의 교리도를 주산의 작품으로 단정할 수 있다. 따라서 20대 중반으로 추정되는 유일한 서품으로 남아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원기 17년이면 영산지부장으로 부임하여 최초 기관장으로 주로 시문을 많이 남긴 시기인데 이처럼 교리도를 정묘하게 그린 필재와 구성이 뛰어나다. 
이 교리도는 원기 17년(1932)에 발간한 『육대요령』에 나타난다. 대종사는 이를 보시고 “참 좋다, 꼭 거북이 같이 생겼다. 오래오래 전해갈 만고의 대법이다. 내 법의 진수가 모두 여기에 들어있다. 이대로만 수행한다면 빈부귀천 유무식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성불 못 할 사람이 없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3. 장년기(출가후반기)

글씨를 평가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중요한 한 가지가 바로 신운이 담긴 글씨이다. 
동국진체의 창시자인 옥동 이서(1662~1723)는 신채를 다음과 같이 강조하고 있다. 
“획은 살아야하고 죽어서는 안 된다. 획마다 신기가 머물러 있어야 하며 이 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획마다 신기가 머무르게 하려면 삼과 절필의 방법을 사용해야 하고 붓의 봉을 속으로 감춰서 써야 한다” 라고 하여 살아있는 글씨를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동국진체의 계승자인 원교 이광사(1705~1777)는, “만약 법에 맞지도 않고 분수를 다하지도 않고서, 오만한 자부심만 가지고 망녕되게 통변을 흉내내며 갑자기 고법을 버린다면, 이것은 의도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므로 결국에는 훌륭한 변화를 이룩할 수도 없을 것이다. 

 

11월3일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