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어로 고쳐 쓴 경전이 필요하다
상태바
현대 한국어로 고쳐 쓴 경전이 필요하다
  • 한울안신문
  • 승인 2024.03.06 21:23
  • 호수 13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산 박세진 마포교당 교도

 

우리나라 젊은이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문해력)이 나빠져서 한자로 된 ‘심심(甚深)한 사과’, 우리말이지만 ‘사흘’, ‘나흘’처럼 자주 쓰지 않는 낱말의 뜻을 잘 모른다고 한다. 어른들은 젊은이들이 한심하다고 여기기 쉽지만, 사실 이것은 언어가 시대에 따라 바뀌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1919년 3월 1일에 조선인을 흥분시켰던 기미년 독립선언서(“吾等은 玆에 我 朝鮮의 獨立國임과 朝鮮人의 自主民임을 宣言하노라…前頭의 光明으로 驀進할 따름인뎌”)를 읽으면서 그 당시 사람처럼 이해하고 전율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이 지금 얼마나 될까?
나는 젊은이들이 우리 경전을 읽다가 마치 기미년 독립선언서를 읽는 것 같다고 느끼지는 않을까하는 생각을 자주 한다. 불교 용어를 비롯하여 지금은 거의 쓰지 않는 한자로 된 단어가 많고, 대종경과 법어에는 “∼하니라”로 끝나는 문체가 사용되어 옛말을 적은 것 같은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몇 달 전에 청년 교도에게서 자기 친구에게 한글 교전을 읽어보라고 했더니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고 하며, 오히려 영어 교전이 이해하기 더 쉽다고 하더라는 말을 들었다. 
나도 사실 그런 생각을 할 때가 꽤 있다. 한글 교전의 글은 현대 한국어와 상당히 달라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지만, 영어 번역본은 현대 영어를 써서 오히려 이 시대와 더 잘 맞기 때문이다.
『불교정전』을 20년 만에 고쳐 쓴 『정전』과 『대종경』으로 이뤄진 『원불교 교전』이 나온 지 62년이 지났고, 『정산종사 법어』가 처음 발간된 지 52년이 되었다. 
오륙십 년 전 시대에 맞던 표현이 지금도 과연 그럴지는 의문이다. 대종사께서는 ‘소수인의 불교를 대중의 불교로’(서품 16) 혁신하자고 하시며 ‘경전도 그 정수를 가려서 일반 대중이 다 배울 수 있도록 쉬운 말로 편찬할 것’(서품 18)이라고 하셨다. 대종사님의 가르침이 이 시대 사람이 읽기에 어렵고 어색하게 씌여서 두루 읽히지 못한다면 우리가 과연 대종사님의 뜻을 실천한다고 할 수 있을까?
성자의 가르침의 내용은 바꿀 수 없지만, 그것을 전달하는 표현은 시대에 맞춰 바꿀 수 있다. 예수님의 가르침을 68년 전에 나온 『성경전서 개역 한글판』에서는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라고 적었지만, 19년 전에 나온 한국 천주교회 공용 『성경』에서는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마태오 복음서 5장 8절)라고 적었다. 두 글의 내용은 사실 같지만, 현대 한국인이라면 어느 글을 읽을 때 더 공감하겠는가?
대종사님의 가르침을 시대와 동떨어진 언어에 가둬둘 수는 없다. 
대종사님의 가르침이 세대를 어울러 더 많은 사람에게 전해지도록 출가와 재가에서 전문가를 모으고, 교도의 의견수렴을 거쳐 투명한 절차를 밟아 수준 높고 읽기 쉬운 현대 한국어로 경전을 고쳐 쓰는 작업을 시작할 것을 감히 제안한다.

 

 

3월8일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