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덕에서 온 편지] 겨울 나그네
상태바
[오덕에서 온 편지] 겨울 나그네
  • 유성신 교무
  • 승인 2022.12.16 09:54
  • 호수 128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덕에서 온 편지 20
유성신<br>서울교구 오덕훈련원 원장<br>
유성신<br>서울교구 오덕훈련원 원장<br>

이곳저곳 배회하고 서성이다가 뚜벅뚜벅 걸어서 인적이 없는 깊은 숲속에 들어왔다. 꽃향기와 풀내음 가득하고 생명의 고운 빛 드러내며 서로를 감싸 안아 생명력이 너울 춤추던 그 흔적들은 자취 없이 사라졌다. 겨울 산야는 적막강산이다. 나무와 나무 사이에는 싸늘한 바람이 일고, 흑백의 중후함으로 얼어붙은 침묵은 야릇한 언어의 빛을 토해내고 있다.

우리가 인생의 힘든 시기에는 누구라도 이렇게 뼛속 깊이 시린 겨울을 보내는 나그네가 된다.

속살을 훤히 드러낸 앙상한 가지만이 드높은 하늘 향하여 진실을 고백하고, 아름드리 우뚝 서 있는 잣나무는 푸르른 지계와 세월의 깊이를 온몸으로 느끼게 한다.

홀로 걷는 겨울 산행은 은밀하게 빠져드는 듯한 운치가 있어 미소짓게 한다. 얼음 밑으로 흐르는 골짜기의 물소리는 냉철한 이성을 일깨우게 한다.

오랜 세월 섬이었던 남도땅 끝자락에 있는 진도는 제주도와 더불어 서울과 멀리 떨어진 최적의 유배지였다. 최고의 지성인들이 머문 이 땅에서 학문, 시화, 서화, 서예 등과 오래된 예술 문화들이 간직되어 꽃을 피워 냈다.

특히 추사 김정희 선생의 제자인 조선시대 말기 남종화가의 대가인 소치 허련 선생이 48세에 한양 생활을 그만두고 그의 고향인 진도에 돌아와 그림과 저술 활동을 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많은 산봉우리 사이로 안개구름 숲에 둘러싸인 경치가 빼어난 운림산방(雲林山房)은 그 일가의 직계 5대의 화맥이 200여년 동안 이어진 대화맥의 산실이 되기도 하였다.

이 땅에 머물렀던 수많은 사람이 인생의 가장 큰 역경을 딛고 고독한 위기를 보내며 창조적인 삶을 열어가는 절호의 기회로 삼았다.

나는 지금 인생의 시기에서 무성한 꽃과 잎을 피우는 시기인가? 누리던 편안함을 결단력 있게 내려놓고 안으로 내면의 힘을 길러야 할 겨울의 준비기인가?

엄동설한의 위기를 뚫고 매혹의 향기를 뿜으며 피어나는 매화꽃을 보라. 어려울 때일수록 단단히 싸매고 육근문을 차단하여 스스로를 갈고닦는 블랙홀과도 같은 응축된 에너지를 생성하는 지혜를 배울 수가 있다.

두텁게 꽁꽁 얼어붙은 얼음은 당장 날카로운 칼날로 떼어내기는 어렵다.

성급함을 내려놓고 시간이 흐르면 스스로가 부드럽게 녹아내린다.

지난겨울 악취가 나는 두엄 세 트럭 정도를 밭 한켠에 묵혀 두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곰삭아서 냄새도 없고 거름으로 최적의 조건이 되었다. 기다리고 시간이 흘러야 비로소 숙성되고 변화가 일어나 독성이 사라지고 두엄이 거름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렇듯이 이 겨울을 인내하고 자신을 정제하며 잘 보내야 긴 기다림 속에서 두터운 업장이 녹아내리고, 시절 인연의 꽃은 소리 없이 피어나는 것이 아닐까?

12월 16일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