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 그리고 작업취사_Anxiety and choice in action
상태바
분노 그리고 작업취사_Anxiety and choice in action
  • 원선일 예비원무
  • 승인 2020.08.11 12:13
  • 호수 118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불교 마음챙김8
원선일(크리스 크레겔로) 오클랜드교당 예비원무

지난 호에서는 삼학을 아는 것이 어떻게 분노를 조절하는 데 적용이 되는지에 대해 다뤘지만, 이는 단지 정신수양과 사리연구에 한정해 다뤘다. 이번 호에서는 수행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분노를 다스리는 것과 관계가 있기도 한 ‘작업취사’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Last month, I talked about how the threefold learning can be applied to dealing with anxiety, but I was only able to discuss the first two, namely cultivating the spirit (정신수양) and inquiry into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사리연구). This month, I will talk about choice in action (작업취사) as the remaining part of this important practice, and again in relation to dealing with anxiety.
 

삼학 중 작업취사에 따르면, 우리는 이미 습득된 두 가지(수양, 연구)의 힘으로 우리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이로움을 주기 위한 행동을 어떻게 취사로 적용시켜야 하는지에 대해 배울 필요가 있다. 즉 취사란 도덕적이면서도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취사는 누군가를 해롭게 하거나 삿되게 빼앗으면 안 된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혹자는 어떤 행동이든 성냄이나 탐욕이 나와서는 안 된다고 얘기한다. 심지어 어린아이들도 그러한 행동이 틀리다는 것을 알고, 그렇게 취사하는 주요 이유는 훈육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다른 예를 들어보자. 아이들을 교육시킬 때 어느 정도의 자비나 훈계를 주는 것이 최선인지를 (취사)결정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According to choice in action of the threefold learning, we need to learn how to apply what we have developed through the other parts in order to make choices that result in beneficial outcomes for ourselves and other beings. This means actions that are ethical and promote well-being. Many such actions are obvious to identify, such as refraining from doing harm or stealing. In fact, one may even simplify and say that any action is to be avoided that is motivated by anger and greed. Even young children understand that such behaviours are wrong, and the main reason that these to occur is due to lack of discipline. Other times, however, it is harder to work out what the right course of action is, such as when determining what level of compassion or strictness is best when educating children. Such choices are then guided by experience, wisdom, and insight.
 

<원불교전서>에서 취사란 육근(눈·귀·코·혀·몸·마음)을 작용할 때 활용해 쓰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분노가 일어날 때 취사를 실행한다는 것은 먼저 마음에서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즉, 분노를 일으키게 하는 생각을 제어하고 이를 줄어들게 하는 바른 취사를 선택하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상황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그때 우리는 마음챙김으로 단순히 반복되는 생각들을 주시하면서, 꼭 필요하지 않음에도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불안을 일으키는 내 안의 마음을 바라봐야 한다. 그 마음을 바라볼 때 불안은 곧 사라지며, 도움이 되고 건강한 생각을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다준다.

The Won Buddhist scriptures explain that action means the functioning of the six sense organs, namely eye, ear, nose, tongue, body, and mind. When applying choice in action to anxiety, mind is something we need to work on first. We thus need to make the right choices by discarding thoughts that increase anxiety and encouraging thoughts that decrease anxiety. That doesn’t mean that we ignore problems, but we must realise that 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we can do something about but there are some things we cannot change. We then use mindfulness of our thoughts to simply observe repetitive thoughts that are not useful but only make us nervous. We then see them fade away, leaving us room for thoughts that are helpful and healthy.


또한 작업취사는 궁극적으로는 타인이나 다른 생명체에게도 이로움이 돌아가게 하기 위함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심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다른 이를 돕는 일임을 알아야 한다. 어떤 분들에게는 이것이 매우 어렵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혹 우리 자신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 너무 이기적인 것이 아닌가 생각할지도 모른다. 이는 우리의 의무를 태만할 때는 그럴지도 모르지만, 기억해야 한다. 무슨 일이든 열정적으로 하지 않으면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될 수 없다. 다만 때에 따라서는 시간이 걸릴지도 모른다.

Even though choice in action (작업취사) is ultimately about benefiting other people and animals, you need to start with yourself so that you are in good health to help other beings. For some people, this may seem very difficult to do. We may think it is selfish to focus on ourselves. That may be so if we neglect our duties, but remember that you don’t benefit anybody if you burn out. This sometimes takes some time to resolve.
 

예를 들면, 여러분이 여러 해 동안 여러 가지 과중한 일들을 다루느라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이는 무엇보다 먼저, 여러분이 세운 높은 가치 기준으로 스스로 완벽주의자가 되고자 했기에 힘든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너무 많은 과제에 본인 스스로 “네”라고 답하고 받아들였기에, 항상 100% 만족해서 할 수 없었던 자신과 타인으로부터 실망하며 끝났을지도 모른다. 만약 여러분이 사리연구를 실천하며 충분한 성찰을 했더라면,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가 얼마만큼인지, 또 실질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이 필요한지를 알아서 계획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For example, over the years, you may have loaded yourself with too many tasks to handle. On top of that, you may also have high standards and may even be a perfectionist. But because you have said yes to too many things, you end up disappointing yourself and others because you cannot do your 100% best each time. If you have generated enough insight through your 사리연구 practice, you will understand how much you can do, and you plan more realistically, knowing that things often take more time than initially thought.
 

다른 사람들에게 당신이 종종 바쁘다고 말하는 것의 문제점은 그 사람들이 (당신이) 바쁘다고 말하는 것이 사실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직장에서, 사람들은 항상 바쁘다고 말한다. 그때 여러분은 이것이 진짜일까 한 번 더 생각하게 된다. (사람들은 사실과 상관없이 습관적으로 바쁘다고 말하는 것에 식상해 한다는 의미)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과도한 스트레스에 지쳐서 그리고 오랫동안 너무 바쁘게 살아온 삶에 지쳐있을지도 모른다. 이럴 땐 정말 사고가 생산적이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 주요하게 다뤄야 할 것은 바른 취사를 한다는 것은 외부 상황에 기초하지 않고, 당신이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아주 작은 일이라도 그들에게 안정을 주고 돕고자 하는 의도로 정중하게 말을 건넨다면, 사람들은 감사를 느끼고 본인 스스로도 기분이 좋아질 것이다. 다른 사람이나 동물에게 좋은 일을 행했을 때, 자신의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실질적 증거들도 여럿 나와 있다. 자선단체에 자원봉사를 하는 사람들이 더 건강하고 장수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이를 증명해준다. 이러한 사람들은 삶의 어려움 가운데에서도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에, 자신보다 더 어려운 사람들에게 희망과 영감을 줄 수 있다.

The problem with saying to other people that you are busy is that most people can’t tell whether it is true or not. At my workplace, people used to say that all the time, and then you start to wonder whether this is really the case. In some cases, however, people may be burnt out after having felt stressed and busy for a long time, and then they are simply not productive. So, what really matters here is that you then make the right choices in the behaviours that are externally based – such as what you say and what you do. If you focus on fewer things and try to do them well and with the genuine intention of helping others, people around you will appreciate it, and you will also feel better. There is a lot of evidence that doing good things for other people and animals is healthy for you. Research has shown that people who volunteer for charitable organisations live longer and healthier lives. This is probably because you may realise first hand that you are not alone in the world with challenges in life, and you can be inspired by people who may even have it tougher than you.
 

다만 기억해야 한다. 작업취사를 꾸준히 한다는 것은 곧 자신의 건강과 다른 이를 살피는 사이에서 중도를 잘 잡는 것이라는 사실을! 마음공부 잘 합시다!

But do remember to find the right balance between looking after your own health and those of others through continued practice of choice in action (작업취사). 마음공부 잘 합시다!

원선일(크리스 크레겔로)오클랜드교당 예비원무뉴질랜드 오클랜드 공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원불교 마음챙김
원선일(크리스 크레겔로)
오클랜드교당 예비원무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8월 14일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