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를 표준으로 잡아라
상태바
여래를 표준으로 잡아라
  • 박세웅 교무
  • 승인 2021.02.02 23:18
  • 호수 12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조요경 다시 읽기2

흰 소의 해 신축년, 이제부터 『금강경』을 시작으로 검은 소를 흰 소로 바꾸는 마음공부를 함께 시작해볼까 한다. 소태산 대종사는 대각 후 『금강경』의 존재를 현몽을 통해 알고 불갑사에서 얻어 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소태산 대종사가 “불법은 천하의 큰 도라 참된 성품의 원리를 밝히고 생사의 큰일을 해결하며 인과의 이치를 드러내고 수행의 길을 갖추어서 모든 교법에 뛰어나다”고 말씀한 것도 바로 『금강경』의 요지를 드러내 준 것이다.

『금강경』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의 준말로 여래의 심법과 그 생활을 그대로 나퉈 보여준 행적을 담고 있다. 원래는 장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았는데 중국 양나라 무제의 아들 소명(昭明)태자에 의해 총 32장으로 분류됐다. 첫 장은 여래께서 대중과 함께 법회를 갖게 된 인연과 유래를 전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음을 내가 듣사오니 한때에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시사 대비구들 천이백오십 인으로 더불어 함께 하시더니 이때에 세존께서 식사 때가 되어 가사를 입으시고 발우를 가지시고 사위대성에 들어가시어 그 성안에서 차례로 빌기를 마치시고, 본래 계시던 곳에 돌아와 공양을 마치시고 의발을 거두시고 발 씻기를 마치신 후 자리를 펴고 앉으시니라.”

『금강경』 1장의 내용은 얼핏 보면 지극히 평범한 일상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대산종사는 『금강경』 1장의 대의를 ‘여래께서 차별 없는 평등행을 보인 것’이라 말씀한다. 과연 어디에서 차별 없는 평등행을 엿볼 수 있을까? 그것은 바로 부처가 제자를 두고도 몸소 걸식을 한 점이요, 걸식을 하면서도 선악귀천과 빈부를 가리지 않고 오직 차례대로 걸식했다는 점에 있다. 다시 말해 ‘나는 존엄한 부처이고 너는 어리석은 중생이다’라거나 ‘이 집은 가난하여 안 되고, 저 집은 부자여서 괜찮다’ 등 일체의 차별을 떠난 그 하나의 자리에서 평등행을 보인 것이다.

소태산 대종사도 ‘일원은 제불·조사·범부·중생의 성품’이라 하였는 바 너와 나도 없고 부처라 더한 바 없고 중생이라고 덜한 바 없는 대평등의 자리이다. 대평등의 자리이므로 우리는 ‘부처는 누구이며 중생은 누구인가’라는 대분발심과 큰 희망으로 마음공부의 길을 걸어갈 수 있다.

이제 다시 한 번 가만히 부처의 행적을 따라가 보자. 어느덧 식사 시간이 됐다. 때에 맞춰 가만히 일어나 가사를 단정히 입으시고 한쪽에 준비된 발우를 든다. 성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조심스럽다. 성에 들어가서는 차례로 빌기를 마치고 본래 자리로 돌아와 정성스러운 공양을 마친다. 이제 입었던 가사를 벗고 발우를 정갈히 정리한다. 맨발로 돌아다녔으니 발을 깨끗이 씻고 다시 처음 그 곳에 자리를 펴고 선정(禪定)의 모습으로 앉는다.

부처가 보여준 일련의 행적은 소태산 대종사가 말씀한 대각여래위 중 ‘동하여도 분별에 착이 없고 정하여도 분별이 절도에 맞는 사람의 위’라는 말씀을 떠올리게 한다. 대산종사는 ‘동하여도 분별에 착이 없다’는 것은 활선 공부로 육식이 육진 중에 출입하되 섞이지도 아니하고 물들지도 아니하여 매사에 중도행을 하며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함을 이름이니, 일체 경계에 부동심이 되고 모든 일이 때에 맞아서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이요, 화이불류(和而不流)’ 되는 것을 이름하고, ‘정하여도 분별이 절도에 맞다’는 것은 일이 없을 때는 일이 있을 때를 대비해 준비 공부를 하자는 것으로 선정삼매와 나가대정(那伽大定) 등의 정정공부(定靜工夫)를 하자는 것이라고 말씀한다.

이처럼 『금강경』 1장은 마음공부를 시작하려는 우리에게 초입부터 여래의 심법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한다. 이것은 어쩌면 우리들이 처음부터 여래를 표준 삼아 공부하여 여래가 되어주기를 바라는 대자대비의 간절한 표현일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부처와 소태산 대종사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고 싶은 것은 아니었을까!

‘부처와 중생이 본래 둘 아니니, 그 시작부터 여래를 표준 삼아 공부하라’.  

 

박세웅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HK교수
박세웅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HK교수

 

2월5일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